Home

Class Schedule 예상문제

문제목차로 기계공작법 목차로 용접문제로
1 편     주         조
예상문제 중 강의진도의 범위에서 출제된다.

   주관식

  1. 모형의 종류를 들고 도시하여 설명하라.
  2. 목재의 수축방지법에 대하여 써라.
  3. 목형용 목재의 구비조건을 써라.
  4. 목재의 건조법에 대하여 써라.
  5. 목재의 규격에 대하여 써라.
  6. 목형제작을 위한 현도에서 고려하여야 하는 다음 사항에 대하여 써라.
    1. 수축여유
    2. 가공여유
    3. 목형구배
    4. rounding
    5. core print
    6. 덧붙이(stop-off)
  7. 목형의 중량이 20kg, 비중이 0.5 이고, 주물재료인 주철의 비중이 7.5일 때 주물의 중량을 계산하라. 단 주철의 수축율은 0.8% 이다.
    답: 292.8 kg
  8. 목공기계의 종류를 들고 규격 표시법을 써라.
  9. 주형의 종류를 들고 설명하라.
  10. 주형기계의 종류를 들고 설명하라.
  11. 주형사의 조성에 대하여 써라.
  12. 주형사의 이상적 필요조건을 써라.
  13. 주형사 시험법의 종류를 들고 설명하라.
  14. 주형사의 용도별 종류를 들고 설명하라.
  15. 탕구계에 대하여 써라(그림 1.60을 도시하고 설계시 고려사항)
  16. 압탕구(feeder)에 대하여 써라.
  17. 낙하식 주입구(落下式 注入口; top gate), 압상식 주입구(押上式 注入口; bottom gate) 및 단 주입구(段 注入口; step gate)의 특징을 써라.
  18. 그림과 같은 주형에서 비중 7.2인 주철주물을 얻을 때 압상력(押上力)을 구하라. 단 동압은 정압의 2배로 한다.

    답: 1008kg

  19. 그림과 같은 주형에서 비중 7.4인 주철주물을 얻으려 할 때 압상력과 중추의 무게를 계산하라. 단 동압은 정압의 2배로하고, 상형의 무게는 5000 kg 이다.

    답: 압상력(동압) 7548 kg, 중추무게 2548 kg

  20. 중심선 송탕저항(中心線 送湯抵抗; centerline feeding resistance)에 대하여 써라.
  21. 용선로(cupola)의 다른 로에 대한 장단점과 작업 순서를 써라.
  22. 용선로(cupola)의 이론적 공기량에 대하여 써라.
  23. 용량 4 ton/hr 인 용선로에서 탄소함유량 60%인 cokes를 cokes 비 12%로 할 때 이론적 송풍량을 계산하라.
    단 CO/CO2 = 30/70 으로 하고
    탄소 1kg이 CO로 되는데 요하는 공기량: 4.45m3
    탄소 1kg이 CO2로 되는데 요하는 공기량: 8.90m3
    답: 36.312m3

  24. 용선로의 다음 용어에 대하여 써라.
    1. 유효높이
    2. 용해능력
    3. 풍공비(風孔比)
    4. cokes 비
    5. 유효높이비
  25. 전로(前爐)의 사용에 대하여 써라.
  26. Maurer선도에 대하여 써라.
  27. 다음 주철에 대하여 써라.
    1. 회주철
    2. Meehanite주철
    3. 구상흙연주철
    4. 가단주철
  28. 원심주조법에 대하여 써라(이론식을 도입하고 설명하라).
  29. 수평식 원심주조기에서 벽두께 t = 10 mm, 외경 Do = 400 mm인 주철관을 주조할 때 주형의 회전수 N(rpm)와 주형면의 가압력 Csp(kg/cmo)을 계산하라.
    단 주철의 비중량 γ= 7.5 g/cm3, Gno = 50
    답: N = 486 rpm, Csp = 0.377 kg/cm2)

  30. die casting에 대하여 써라.
  31. shell moulding에 대하여 써라.
  32. 특수주조법에 대하여 써라.
  33. 주물의 결함에 대하여 써라.
  34. 주물의 검사법에 대하여 써라.

   객관식

  1. 목재 수축변형에 가장 큰 원인이 되는 것은?
    1. 섬유조직
    2. 수분
    3. 나이테
    4. 심재(心材)

  2. 목재의 수축이 큰 것부터 나열된 것은?
    1. 나이테방향, 연수방향, 섬유방향
    2. 나이테방향, 섬유방향, 연수방향
    3. 연수방향, 나이테방향, 섬유방향
    4. 섬유방향, 나이테방향, 연수방향

  3. 목재의 부피규격인 1사이는?
    1. 1자각 x 12자
    2. 1치각 x 12자
    3. 1자각 x 1자
    4. 12자 x 1치
  4. 모형에 목재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가 되지 못하는 것은?
    1. 가공이 용이하다.
    2. 값이 싸다.
    3. 내구성이 크다.
    4. 수리와 개조가 용이하다.

  5. 목형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주물자(shrinkage scale)의 제작 기준은?
    1. 목형의 치수
    2. 주물의 치수
    3. 목형의 중량
    4. 주물의 수축률

  6. 주물에 가공여유를 둘 때 기준이 되는 것은?
    1. 금속의 용융온도
    2. 금속의 종류
    3. 다듬질 정도
    4. 금속의 수축률

  7. 지름 500mm인 원형톱기계에서절삭속도 1600m/min로 목재를 켤 때 회전수 N(rpm)은?
    1. 1217
    2. 350
    3. 2015
    4. 1019

  8. 목형의 치수 L, 주물의 치수 일 때 수축률 는?
    1. = (L - )/
    2. = (L - )/L
    3. = L/(L - )
    4. = ( - L)

  9. 목재의 비중 0.4, 주철의 비중 7.2, 주철의 수축률 0.8%, 목형의 중량이 5kg일 때 주철주물의 중량(kg)은?
    1. 50
    2. 89
    3. 152
    4. 1000

  10. 목형에 구배를 두는 목적은?
    1. 주형을 파손시키지 않고 목형을 빼낼 수 있게 한다.
    2. 주형의 통기도를 향상시킨다.
    3. 용탕의 유입을 용이하게 한다.
    4. 주물의 조직을 치밀하게 한다.

  11. 목형에 덧붙임(stop-off)을 붙이는 목적은?
    1. 목형의 변형을 방지한다.
    2. 주물의 수축변형을 방지한다.
    3. 용탕의 유입을 돕는다.
    4. gas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여 기공을 방지한다.

  12. 설계도에 수축여유, 가공여유, core 및 기타 목형 제작에 필요한 사항을 고려한 도면은?
    1. 현도
    2. 공작도
    3. 조립도
    4. 부품도

  13. 중공(中空) 주물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목형은?
    1. 부분목형
    2. 회전목형
    3. 골조목형
    4. core 목형

  14. 냉강주물(冷剛鑄物; chilled casting)을 얻는 방법은?
    1. 급냉에 의하여 표면에 경도가 큰 cementite 조직을 형성한다.
    2. 주조 후 0oC 이하의 온도에 방치하여 표면경도를 크게한다.
    3. 냉각속도를 느리게 하여 연질(軟質)의 pearlite 조직을 얻는다.
    4. 주조 후에 열처리하여 인성을 증가시킨다.

  15. 입도의 단위인 mesh의 정의는?
    1. 1 in2에 있는 체눈수
    2. 체의 1 in 변의 분할수
    3. 1 cm2에 있는 체눈수
    4. 체의 1 cm 변의 분할수

  16. 주형사에 보조제를 첨가하는 목적 중 틀린 것은?
    1. 톱밥, 볏집은 다공성을 형성하여 gas 배출을 돕는다.
    2. 당밀, 곡분을 첨가하여 점결성을 증가시킨다.
    3. 흑연 분말을 주형표면에 살포하여 주형의 균열을 방지한다.
    4. 식물성기름, 규산소오다를 첨가하여 core 등의 소결성을 증가시킨다.

  17. 목마(木馬)와 함께 주형제작에 사용되는 목형은?
    1. 회전목형
    2. 부분목형
    3. 조립목형
    4. 골격목형

  18. 주형에 냉각쇠(冷却쇠; chill)를 사용하는 목적은?
    1. 냉각속도를 균등히 하기 위하여
    2. 편석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용탕에 유동성을 주기 위하여
    4. 기공을 방지하기 위하여

  19. 위에서 본 주형 공간의 투영면적 A, 탕구의 유효높이 H, 용탕의 비중량 , 상형의 무게를 G라 할 때 중추의 무게W는?
    1. W =AH - G
    2. W = A - HG
    3. W = AG - H
    4. W = G - AH

  20. 목형에 rounding을 두는 주목적은?
    1. 주형을 파손하지 않고 목형을 빼낼 수 있다.
    2. 주물의 결정립(結晶粒) 성장을 방지한다.
    3. 목형을 취급할 때 부상을 막는다.
    4. 목형을 미려하게 한다.

  21. 용탕(熔湯)의 수축량을 보충하기 위한 것은?
    1. rounding
    2. feeder
    3. riser
    4. core print

  22. 압탕구(押湯口, 送湯口; feeder)의 체적 및 표면적을 Vf, Sf라 하고, 주물의 체적 및 표면적을 Vc, Sc라 할 때 다음의 관계에서 옳은 것은?
    1. Vf / Sf > Vc / Sc
    2. Vf / Sf < Vc / Sc
    3. Vf / Sf = Vc / Sc
    4. VfSf > VcSc

  23. 기공의 주원인이 되는 것은?
    1. gas 배출의 불량
    2. 너무 낮은 주입온도
    3. 주형의 다짐 불충분
    4. 너무 느린 주입속도

  24. 기공의 (氣孔; blow hole)의 방지책이 아닌 것은?
    1. 주형의 통기도를 크게할 것.
    2. 압탕구를 설치할 것.
    3. 건조형을 사용할 것.
    4. 용탕의 온도를 높게하여 유동성을 좋게할 것.

  25. 주형에 용탕을 주입할 때 수칙이 되지 못하는 것은?
    1. 주입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안된다.
    2. 연속적으로 주입하여야 한다.
    3. 주입속도는 클수록 좋다.
    4. ladle의 위치를 너무 높게하면 안된다.

  26. 주철이 주강보다 우수한 성질은?
    1. 주조성
    2. 강도
    3. 연율
    4. 인성

  27. 주철의 흑연화(黑鉛化)를 촉진시키는 것은?
    1. Mn
    2. P
    3. Si
    4. S

  28. 주철의 백선화(白銑化)를 촉진시키는 것은?
    1. Mn
    2. P
    3. Si
    4. S

  29. 주철의 용융온도를 낮게 하고 유동성을 증가시켜 주는 것은?
    1. Mn
    2. P
    3. Si
    4. S

  30. 주철주물에 S가 많을 때 나타나는 현상은?
    1. 고온취성과 유동성 불량
    2. 고온취성
    3. 저온취성과 유동성 양호
    4. 저온취성과 유동성 불량

  31. 선철(銑鐵; pig iron)을 얻는 노(爐)는?
    1. 평로
    2. 전기로
    3. 용선로
    4. 용광로

  32. 용선로(cupola)의 용량 표시는?
    1. 지금(地金) 1ton 당 송풍량(m3)
    2. 1회에 용해할 수 있는 지금의 중량(ton)
    3. 1시간에 용해할 수 있는 지금의 중량(ton)
    4. 1일에 용해할 수 있는 지금의 중량(ton)

  33. 양호한 주철주물을 얻기 위한 성분의 관계를 나타내는 Maurer 선도는 어느 성분 관계를 보여 주는가?
    1. P와 C
    2. Mn과 P
    3. C와 Si
    4. Si와 Mn

  34. 회주철(灰鑄鐵; grey cast iron)의 종류를 나타내는 GC20 에서 20 의 의미는?
    1. 전단강도(kg/mm2)
    2. 굽힘강도(kg/mm2)
    3. 변형률(%)
    4. 인장강도(kg/mm2)

  35. 가단주철(可鍛鑄鐵)의 제조법은?
    1. 백선철을 열처리한다.
    2. 회선철을 열처리한다.
    3. 주철을 단련한다.
    4. 용선로(熔銑爐; cupola)에서 성분을 조정한다.

  36. 구상흑연주철(球狀黑鉛鑄鐵)을 제조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Mg
    2. P
    3. Ce
    4. C

  37. Meehanite 주철의 제조법은?
    1. 선철에 강 scrap을 많이 첨가하여 저탄소주철이 되게한다.
    2. 선철을 용해할 때 탄소량을 증가시킨다.
    3. 백선철을 열처리하여 편상흑연(片狀黑鉛)을 구상화 한다.
    4. Ce 처리법, Mg 처리법, Ca 처리법에 의한다.

  38. 70/30 황동의 특성은?
    1. 연율이 크고 인장강도가 낮다.
    2. 연율과 인장강도가 크다.
    3. 인장강도와 경도가 크다.
    4. 연율과 경도가 크다.

  39. 주철의 주입온도는?
    1. 1000oC
    2. 1500 ~ 1650oC
    3. 1600 ~ 1720oC
    4. 1300 ~ 1350oC

  40. 원심주조법에서 G number의 정의는?
    1. 원심력(mrω2)
    2. 중력가속도(g)/원심력에 의한 가속도(rω2)
    3. 원심력에 의한 가속도(rω2)/중력가속도(g)
    4. 중력가속도(g) × 원심력에 의한 가속도(rω2)

  41. 주형재로서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은?
    1. die casting
    2. shell moulding
    3. 진공주조법
    4. 저압주조법

  42. 주물의 결함이 아닌 것은?
    1. 기공
    2. 적열취성
    3. 편석
    4. 균열

  43. 제게르 콘(Seger cone)과 관계가 있는 것은?
    1. 주형사의 내화도시험
    2. 주형사의 성형성시험
    3. 주형사의 통기도시험
    4. 주형사의 강도시험

  44. 용탕의 탈(脫) gas법 중 가장효과적인 방법은?
    1. 원심력에 의한 방법
    2. 용탕에 불활성 gas를 넣는 방법
    3. 진공처리법(진공주조법)
    4. 탈 gas제를 사용하는 방법

해답(객관식)

해답(교재)(주관식)

문제목차로 기계공작법 목차로 위로 용접문제로


Search Engine Home